컴퓨터(5)

오늘은 어제에 이어 IntelliJ IDEA를 설치해 보려 합니다.

IntelliJ IDEA는 자바 통합 개발 툴로 역시 JDK 설치가 필요합니다.

JDK설치는 전에 글을 보면되고...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https://www.jetbrains.com/idea/  에 접속해서 다운로드 받으면고




이클립스와 마찬가지로 설치가 아닌 압축을 푸는 것이기 때문에...

원하는 적다한 위치에서 압축을 풀면!! 됩니다.


tar.gz 압축을 풀때는....


귀찮으니까 한꺼번에


tar -xzvf ideaIU-2016.1.3.tar.gz


하면 끝 ㅎㅎㅎ


압축다 풀고 터미널을 이용해서 해당 폴더의 bin 폴더까지 들어가서


./idea.sh


를 치면 IntelliJ가 실행 됩니다.


오늘은 이만 ㅎㅎㅎ






,

엄청 오랜만이긴 하지만....

지금 사용하고 있는 우분투 14.04에 자바와 이클립스를 설치해 보려합니다.

 


자바 설치


1. jdk 설치


터미널에서 jdk를 먼저 찾아보도록 하겠.....


sudo apt-cache search jdk / apt-cache search jdk


.... 좀 많이 나오네요.


여기서 다른거 다빼고.. openjdk-7-jdk를 설치하겠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openjdk-7-jdk / apt-get install openjdk-7-jdk


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좀만 기다리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 됩니다.

자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으니... 환경설정을 해 봅시다.


2. 자바 환경변수 설정


일단 설치 된 자바의 홈 디렉토리가 어디 있나면


/usr/lib/jvm/java-7-openjdk-amd64/ 에 있습니다.

참고하시고...


터미널에서 루트 권한으로 bash.bashrc 파일을 열어 봅시다.


vi /etc/bash.bashrc


파일을 열고나서 맨~~ 밑에


export JAVA_HOME=/usr/lib/jvm/java-7-openjdk-amd64/ 


추가하고 저장... 마지막으로


source /etc/bash.bashrc


bashrc파일을 다시 읽으면.... 환경변수 설정까지 끝 ㅎㅎ

자 이제 이클립스를 설치해 봅시다.




이클립스 설치


위에서 자바를 설치하고 환경변수까지 설정 했으니 이클립스를 설치해 볼까요?


일단 이클립스를 다운로드를 해야 하는데.... 저는 최신 버전인 Neon이 아닌 Mars. 2 를 설치할것이기 때문에


https://www.eclipse.org/downloads/packages/release/Mars/2


에 가면 릴리즈 된 버전 중에 원하는 버전을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Eclipse Mars 2 Packages 에서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를 다운로드 했고, 각자 원하는 버전을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후 Downloads 폴더에 eclipse-java-mars-2-linux-gtk-x86_64.tar.gz 파일이 생겼습니다.


이클립스는 다른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설치가 아니고 압축만 풀면 되기 때문에 적당히 원하는 위치에서


tar -xzvf eclipse-java-mars-2-linux-gtk-x86_64.tar.gz


이렇게 압축을 풀고..... 압축을 푼 폴더에서


./eclipse


하면


이클립스가 실행 됩니다 ㅎㅎㅎㅎㅎㅎ


그럼 오늘은 이만 ㅎㅎ





,

[Linux] Unity Tweak Tool 설치

컴퓨터 | 2015. 9. 6. 20:43 | amamongm

오늘은  Unity Tweak Tool을 설치해 보려 합니다.

이게 뭐냐면.. 우분투에서 멀티 윈도우(여러개의 workspace)를 쓸수 있게 해수는 Tool 이라고 설명하면 될거 같네요 ㅎㅎ


일단 Ubuntu Software Center 에 들어가서 Unity Tweak 를 검색하고, 설치 합시다.




그다음은 설치를 했으니 실행을 해야죠.

음... 의도한건 아니지만 제 바탕화면이 좀 나왔네요 ㅎㅎ

뭐 쨋든 실행을 합니다.


자, 실행하면 밑의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Workspace Setting을 선택하고 세팅을 해주면 됩니다ㅎㅎㅎ



여기서 뭘 설정하면 되느냐.... 다 하면 됩니다.


처음에 Workspace switcher를 off -> on 으로 바꾸면


Horizontal worksapces랑 Vertical workspaces 가 각각 2로 초기화가 되는데 이대로 쓰시면 됩니다. 

막 숫자 늘려보고 줄여보고 했는데 2*2가 젤 편하고 괜히 초기 설정값이 아니더라고요 ㅎㅎㅎ


Current workspace colour은... 바꾸실분만 바꾸시고요. 저는 빨간색을 좋아해서 바꿨습니다.


또 중요한거중 하나... 어떤 단축키로 왔다갔다 할꺼냐인데 저는 Alt + space 로 했습니다만 다들 편한거로 하시면 됩니다 ㅎㅎ



설정 다한뒤에 창닫으면


런처에 밑에 사진같은게 생기는데 이거 클릭해도 되고, 좀전에 설정한 단축키 누르시면



짜자잔~ 여기서 workspace를 정해서 작업하시면 됩니다ㅎㅎ

분명 1대의 컴퓨터 이지만  worksapce조절만 잘하면.... 여러대의 컴터를 쓰는 느낌?ㅎㅎ


아 그리고 저같은 경우 듀얼 모니터를 쓰고 있어서 저렇게 보이는데 모니터 하나만 쓰시는 분들은 딱 4개의 화면만 나옵니다.


오늘은 이만~

,
우분투를 처음 설치하면....

흔히 말하는 관리자권한(root)의 비밀번호가 설정이 안되있더라고요

그래서


터미널을 키고 sudo passwd 라고 칩니다

그러면 이렇게 비밀번호를 물어보고


Enter new UNIX password: *****

Retype new UNIX password: *****


***** -> 이부분은 각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설정하면 됩니다.


비밀번호 설정이 끝나면 


su 명령어를 치고,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관리자권한(root)로 로그인할수 있습니다.


아, 추가적으로 root권한 로그인할때 비밀번호 안보이니까 조심조심 잘못치면 su명령어 다시 쳐서 하면 됩니다 ㅎㅎ

아래 사진같은경우 비밀번호 입력한 상태 입니다



터미널 끌때는 exit 명령어를 쳐도 되고, 왼쪽 상단에 닫기 버튼 클릭하셔도 됩니다ㅎㅎ

,

요즘 우분투를 사용한지 1달이 좀 넘어가는데...


여태까지 터미널을 여러개 띄워서 사용했는데


어제 하나의 창에 터미널 여러개를 띄우는 법을 찾았.... ㅎㅎ


보통 터미널을 띄우면



요렇게 뜨죠?


근데 여기서 


Ctrl + Shift + t 를 누르면


짠~

탭이 2개가 되고


한번 더누르면



요렇게 3개가 되고


신세계 였습니다. ㅎㅎㅎ


그리고, 탭을 닫으러면 다들 아는 exit 를 입력 하거나, Ctrl + Shift + w 누르시면 됩니다 ㅎㅎㅎ



터미널 하나에 탭 여러개 띄우기 : Ctrl + Shift + t

탭 닫기 : exit or Ctrl + Shift + w


,